넷플릭스 계시록 영화 리뷰
안녕하세요.
아이들을 재우고 어떤 영화가 올라왔나 넷플릭스를
둘러보는데 "계시록"이 올라와서 왠지 흥미로운 걸 같아서
선택을 해서 맥주와 함께 영화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2025년 3월21일 공개된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하는
한국영화로
" 뒤클린 믿음으로 광기가 시작된다"
실종 사건의 범인을 단죄하는 것이 신의계시라 믿는 목사와
죽은 동생의 환영에 시달리는 실종 사건 담당 형사가
각자의 믿음을 쫒으며 벌어지는 이야기
보기전에 좀 찾아보니까 개요가 위와 같았습니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 느낀 기분과 영화의 내용이
딱 3줄로 표현한 이야기 같았습니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데 기분나쁜 남자가 여학생을
계속해서 기분나쁜 표정으로 따라가는데 개척교회에서
장면이 시작됩니다.

교회예배가 끝나고 여학생을 따라 들어온 성범죄자 권양래(신민재)에게
사명의 나라 교회 담임목사 성민찬(류준열)이 신도카드를 작성하기위해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자 했으나 전화가 걸려온 담임목사 성민찬(류준열)
잠시 자리를 비운사이 권양래(신민재)는 교회를 빠져나가게 됩니다.

개척 사명을 받고 지방의 작은 도시에서 교회를 운영하는 목사는
흥신소에서 아내가 바람을 피고 있다는 전화를 받고 배신에 떨며
자신에게 개척을 보낸 스승 목사에게 찾아가고 하루 일과를 보내는
중 아내에게 걸려온 전화가 성민찬(류준열) 아들이 없어졌다는 전화를 받고

오늘 교회에 방문한 권양래(신민재)가 유괴를 했다고 생각하고
권양래(신민재)집을 찾아갔는데 권양래가 삽과 비옷을 입고
수상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권양래(신민재)를 따라가게 된다.

권양래(신민재)는 성민찬(류준열)이 따라오는것을
알고 서로 약간의 몸싸움을 하다가 성민찬(류준열)이
권양래(신민재)를 밀어서 산 아래로 떨어져 죽었습니다.


빛으로 예수의 얼굴의 그림자를 보고 신의계시라고 믿는다.

권양래(신민재)를 죽였다고 걱정과 불안에 떨던 개척교회
담임목사 성민찬(륜준열)이 모시는 스승 목사에게 찾아가서 말하려는 순간
더 큰 문제가 생긴 스승 목사의 아들로 인해 새로 짓고 있는
교회의 목사자리를 담당하게 생기면서 또 한번 이또한
신의 계시라고 믿는 성민찬(류준열)


경기무산중부경찰서 강력4팅 형사 이연희(신현빈)이
과거 끔찍한 범죄로 죽음을 맞이한 여동생의 환영에 계속해서 시달리며 피폐해진
삶을 살고 있으나 발령 전날 실종사건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신아영(김보민)이 납치사전 피해자로 아이가 없어져서
용의자로 의심되는 권양래(신민재)를 쫒는 과정에서 의심스러운
목사 성민찬(류준열)을 지켜보게 된다.

신아영(김보민)이 납치된 상황에서 용의자 권양래(신민재)를
죽이려는 목사 성민찬(류준열)과 형사 이연희(신현빈) 3명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권양래(신민재)는 죽음의 상황에서 찬송가를
부르고 형사 이연희(신현빈)은 신아영(김보민)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권양래(신민재)를 보호하고 목사 성민찬(류준열)은
신아영(김보민)이 죽었으며 신의계시로 권양래(신민재)를 죽여야한다는
대치상황에 놓이게 되지만 몸싸움끝에 권양래(신민재)가 죽어서
신아영(김보민)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해 형사 이연희(신현빈)이
권양래(신민재)의 정신과 전문의 이낙성(김도영)을 찾아갑니다.

생각보다 약간은 지루하고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아리송한 느낌이였습니다.
절정이 끝났는데도 약간은 밋밋한 느낌
그런데 사실 감독이 전달하고 하는 이야기는 정신과 전문의
이낙성(김도영)이 대사로 이야기한 부분을 말하고 싶었던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목사 성민찬(류준열)은 아포페니아로 서로 연관성 없는 정보에서
규칙을 찾는것으로 자연현상에서 특징적인 것을 만들어내는 사람이고
권양래(심는) 아빠에게 괴로운 학대에 외눈박이 눈으로 엄마는 밖에서
찬송가를 부르고 트라우마를 일깨우는 외눈박이 창을 통해 범죄를
또다시 저지르게 되는 사람으로 괴물이 비극을 만들어낸다고 말하고
형사 이연희(신현빈)는 죄책감을 통해 동생환영을 보는것을 보며
자기 잘못으로 허상을 만들어내고 있으나
사실은 모두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내는 것으로
위의 3사람이 다른듯 보이나 사태의 원인을 다른곳에서 찾고 있습니다.
교수대사
비극의 원인을
권양래는 괴물이라고 말하고
성민찬은 신의계시라고 말하고
이경위는 자의잘못이라고 말하고
이세상의 비극은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복합적인 일로 만들어집니다.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보이는 것만 보자.
위의 대사가 이 영화에서 제일 기억에 남았습니다.
기대이상으로 영화가 재미 없었지만 무엇을 말하려고 했으며
나에게 남는게 있다면 좋다고 생각하는데
위의 교수대사처럼 비극은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복합적인 일로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는데 인간의 편의를 위해 합리화를
찾는 대상이 다 다른것 같다는 말을 하는것에 우리의 일상을
돌이켜 볼 필요성을 이야기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두들 즐거운 주말되세요.
감사합니다.
